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페네르바체 SK 역사 이야기

by 볼테르7 2025. 2. 24.
반응형

페네르바체 SK 엠블럼 사진

페네르바체 SK(Fenerbahçe Spor Kulübü)는 튀르키예 쉬페르리그 소속으로 연고지는 이스탄불, 홈구장은 페네르바체 쉬크뤼 사라졸루 스타디움(Fenerbahçe Şükrü Saraçoğlu Stadyumu)입니다. 2024-25 시즌 현재 쉬페르리그 2위를 달리고 있습니다. 쉬페르리그의 대표적인 명문 클럽, 페네르바체 SK의 역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페네르바체 SK의 창단

1907년 오스만 제국 시절, 지야 송귈렌(Ziya Songülen), 아예툴라 베이(Ayetullah Bey), 네지프 오카네르(Necip Okaner)을 주축으로 장교들이 창단한 축구클럽입니다. 구단명은 연고지인 카드쾨이에 있는 등대 '페네르바흐체 등대(Fenerbahçe Feneri)'에서 유래했습니다. 1903년에 노동자들이 모여서 창단한 베식타스 JK, 1905년에 오스만 제국 귀족 자제들이 창단한 갈라타사라이 SK와 같이 이스탄불을 상징하는 3대 구단이었습니다. 귀족들이 중심으로 후원하던 갈라타사라이 SK와 달리 초창기의 페네르바체는 자금력이 떨어져 비슷한 처지인 베식타스 JK와 함께 힘든 시절을 겪어야 했습니다.

1909년 처음으로 참여한 공식 대회인 술탄컵에선 갈라타사라이에게 0:2 패배를 당한 뒤로 1921년까지 갈라타사라이를 상대로 공식경기 24전 전패, 비공식 친선전으로도 15전 전패를 당하며 단 한 번도 승리를 거두지 못했습니다.

갈라타사라이의 독주가 이어지다 1922년 오스만 제국이 멸망할 무렵 튀르키예 공화국 건국과정에서 양 팀의 사정이 바뀌게 됩니다. 구 기득권층인 오스만 귀족들이 대부분이던 갈라타사라이로선 아타튀르크와 반목하던 반면, 대조적으로 초급장교와 사병들이 주축을 이룬 페네르바흐체는 오스만 제국 타도에 앞장서면서 갈라타사라이는 자금면에서 몰락하고 페네르바흐체가 탄력을 받게 되었습니다.

페네르바체 SK의 성과

  • 터키 리그 우승 기록

페네르바체는 튀르키예 최상위 리그인 슈퍼리그(Süper Lig)에서 총 28회 우승을 차지하며, 최다 우승 경쟁에서 갈라타사라이와 접전을 펼치고 있습니다. 튀르키예 축구 연맹이 공식적으로 인정한 리그 타이틀 중 1959년 이후 슈퍼리그가 출범한 후에는 19차례 정상에 올랐습니다. 196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 각 시대별로 강력한 전력을 유지하며 꾸준한 리그 우승을 기록한 것이 특징입니다.

  • 국내 대회 성과

페네르바체는 리그뿐만 아니라 튀르키예 컵(Türkiye Kupası)에서도 6회(1967-68, 1973-74, 1978-79, 1982-83, 2011-12, 2012-13)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컵대회에서는 라이벌 갈라타사라이(18회 우승)와 비교해 적은 우승 횟수를 보이며 상대적으로 고전한 모습입니다. 리그 챔피언과 컵 우승팀이 맞붙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튀르키예 슈퍼컵(TFF Süper Kupa, 과거 튀르키예 대통령컵 포함)에서는 총 9회의 우승(1968, 1973, 1984, 1985, 1990, 1992, 1998, 2007, 2014)을 기록했습니다.

  • 국제 대회 성과

페네르바체는 국제 대회에서도 의미 있는 기록을 남겼습니다. 가장 큰 업적 중 하나는 2012-13 시즌 UEFA 유로파리그 준결승 진출로, 이는 터키 클럽이 유럽 대항전에서 거둔 최고의 성적 중 하나로 평가됩니다. 이 과정에서 세리에 A의 SS 라치오 등을 꺾으며 유럽 무대에서도 경쟁력을 입증했습니다.

페네르바체 SK의 전설적인 선수들

페네르바체는 튀르키예 축구 역사에서 가장 성공적인 클럽 중 하나로, 수많은 전설적인 선수들을 배출했습니다. 클럽에서 활약한 몇몇 선수들은 단순한 스타플레이어를 넘어 페네르바체의 상징으로 남았습니다. 공격수 부문에는 레프테르 퀴취칸도니아디스(Lefter Küçükandonyadis)선수가 있습니다. 퀴취칸도니아디스는 1947년에서 1951년까지, 1953년부터 1964년까지 두 차례 페네르바체에서 활약하며 페네르바체에서 클럽의 상징적인 선수로 평가됩니다. 클럽 소속 선수로 튀르키예 챔피언십 4회, 이스탄불 축구리그 3회, 내셔널 리그 1회, 쉬페르리그 3회 우승을 달성합니다. 영국의 유명 축구 잡지 ‘월드 사커’는 그를 20세기 최고의 축구 선수 200인 중 한 명으로 선정하기도 했습니다. 클럽뿐만 아니라 국가대표팀에서도 활약하며 튀르키예 축구 역사상 가장 뛰어난 공격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넬덜란드 출신 공격수 디르크 카윗(Dirk Kuyt) 선수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2012년부터 2015년까지 클럽에서 활약하며 팀의 공격을 이끌었습니다. 미드필더 부문에는 알렉스(Alexsandro de Souza) 선수가 있습니다. 알렉스는 브라질 출신 공격형 미드필더로 쉬페르리그 득점왕 2회, 2007-08 시즌 UEFA 챔피언스 리그 도움왕을 차지하며 클럽에서 전성기를 누렸습니다. 알렉스는 브라질리언 특유의 기술과 강력한 슈팅을 겸비한 결정력이 좋은 선수였습니다. 도움왕에 오를 만큼 경기 조율 능력과 이타적인 플레이도 훌륭했습니다. 또 한 명의 미드필더는 엠레 벨뢰졸루(Emre Belözoğlu) 선수입니다. 2008년부터 2012년까지, 2013년부터 2015년까지, 2019년부터 2020년까지 총 3차례 클럽 소속으로 활약했습니다. 벨뢰졸루는 중원에서 여려가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선수였고, 안정적인 테크닉과 볼 운반 능력이 돋보였습니다. 다소 작은 키를 가지고 있었지만, 몸싸움을 피하지 않았고 투쟁적인 선수였습니다.

맺음

튀르키예의 수도 이스탄불을 연고로 갈라타라사이 SK, 베식타스 JK와 경쟁하며, 튀르키예 3강팀으로 분류되는 페네르바체 SK. 튀르키예의 역사 속에서 성장하며 팬들에게 감동과 즐거움을 선사했습니다. 대한민국의 김민재 선수가 몸 담았으며, 현재 조진호 선수가 소속된 페네르바체 SK를 응원해 보는 건 어떨까요?

반응형